포르모자 고속공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르모자 고속공로는 1987년 공사를 시작하여 여러 단계를 거쳐 2004년 전 구간이 개통된 타이완의 고속도로이다. 타이완 서부의 산악 지대와 농촌 지역을 통과하며, 국도 1호선 등 여러 고속도로 및 지방도와 교차한다. 총 55개의 나들목과 13개의 분기점이 설치되어 있으며, 차로 수와 제한 속도는 구간에 따라 다르다. 2004년 11월 1일 '포르모자 고속도로'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2006년 ETC 시스템이 도입되었으며, 2013년 요금소가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국도 - 중산 고속공로
중산 고속공로는 1971년에 착공하여 1978년에 전 구간이 개통된 대만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기륭에서 가오슝까지 대만의 남북을 연결하고 52개의 나들목, 17개의 분기점, 6개의 휴게소, 1개의 터널로 구성되어 있다. - 대만의 국도 - 중화민국의 일반 국도
중화민국의 일반 국도는 1964년 최초의 고속도로 개통 이후 남북 및 동서 방향의 다양한 노선으로 발전해 왔으며, 유료가 일반적이지만 공공성 및 기능적 중요성으로 무료 구간도 존재한다.
포르모자 고속공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일반 정보 | |
도로 종류 | 타이완의 국도(고속공로) |
노선 번호 | 3호선 |
대체 이름 | 포르모자 고속공로 국도 3호 번체: 福爾摩沙高速公路 |
총 연장 | 431.5 km |
개통 연도 | 1993년 11월 (일부 구간) 2004년 1월 1일 (전 구간) |
시스템 | 타이완의 자동차 전용 도로 |
노선 정보 | |
기점 | 지룽시 안러 구 |
주요 경유지 | 지룽시 신베이시 타이베이시 타오위안시 신주 현 신주 시 먀오리 현 타이중시 장화 현 난터우 현 윈린 현 자이 현 자이 시 타이난시 가오슝시 핑둥 현 |
종점 | 핑둥 현 둥강 향 |
주요 교차 도로 | 국도 1호선 (시즈) 국도 5호선 (난강, 타이베이) 국도 2호선 (잉거) 국도 1호선 (바오산) 국도 4호선 (칭수이) 국도 1호선 (장화) 국도 6호선 (우펑) 국도 8호선 (신화) 국도 10호선 (옌차오) |
통과 지역 | 지룽 신베이 타이베이 타오위안 신주 먀오리 타이중 장화 난터우 윈린 자이 타이난 가오슝 핑둥 |
연혁 | |
개통 | 1993년 1월 19일 |
이전/다음 노선 | |
이전 노선 종류 | 국도 |
이전 노선 번호 | 2 |
다음 노선 종류 | 국도 |
다음 노선 번호 | 4 |
2. 역사
1987년 타이베이와 신주를 잇는 제2 고속도로 건설 공사가 시작되었다. 1993년 1월에 투청 나들목(IC) - 산영 나들목 구간이, 같은 해 8월에는 중허 나들목 - 신주 남쪽 나들목(SIC) 구간이 차례로 개통되었다. 1996년에는 신주 남쪽 나들목에서 향산 나들목까지의 구간과 시즈 지선 나들목(SIC) - 무자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었다. 1997년 8월에는 무자 나들목 - 중허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면서 북쪽 구간이 완성되었고, 2000년 8월에는 시즈 지선 나들목과 기진 나들목을 잇는 구간이 개통되었다.
신주시 남쪽 구간은 1993년에 착공하여, 2000년 2월 신화 분기점(JCT) - 지우러 나들목 구간을 시작으로 구간별 개통이 이어졌다. 2001년에는 더우류 나들목 - 신화 분기점, 향산 나들목 - 주난 나들목 구간이, 2002년에는 주난 나들목 - 후롱 나들목, 차오툰 나들목 - 더우류 나들목, 중강 남쪽 나들목(SIC) - 룽징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었다. 2003년 1월에는 후롱 나들목 - 중강 분기점, 콰이관 나들목 - 차오툰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었고, 2004년 1월 룽징 나들목 - 콰이관 나들목 구간 개통을 끝으로 전체 공사가 마무리되었다.
2004년 11월 1일에는 국도 3호선 전체 구간이 '포르모자 고속공로'로 명명되었으며, 2006년 2월 10일에는 ETC 시스템이 도입되었다.[2] 2013년 12월 30일부터는 요금소가 폐지되고 ETC를 이용한 거리제 요금 징수 방식이 시행되고 있다.
2010년 4월 25일에는 시저우 인근에서 산사태가 발생하여 4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2]
2. 1. 건설 배경 및 초기 계획
1980년대 타이완의 경제 성장과 함께 교통량이 급증하면서, 기존의 중산 고속도로(국도 1호선)만으로는 교통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워졌다. 이에 타이완 정부는 제2 고속도로 건설을 계획하게 되었고, 이는 지역 균형 발전과 국토의 효율적 이용이라는 목표를 함께 추구했다.[1] 초기에는 타이베이와 신주 사이 구간 건설이 먼저 추진되었으며, 1987년 착공에 들어갔다.[1]포르모자 고속공로는 계획 단계에서 이미 개통되어 있던 중산 고속도로에 대해 "제2고속도로"로 명명되었다. 이 때문에 북부 지역이 개통되자 "'''북부 제2고속도로'''"(북이고속도로)로 불렸고, 그 후 개통된 남부 노선·중부 노선은 각각 '''남이고속도로'''와 '''중이고속도로'''로 불리게 되었다.[3] 한편, 행정 명칭으로는 남북 종단 도로에는 홀수 번호를 부여한다는 규칙에 따라 포르모자 고속공로는 '''국도 3호선'''으로 명칭이 정해졌다.[3]
중산 고속도로가 타이완 서부 도시 간의 연결을 직접적인 목적으로 한 데 비해, 포르모자 고속공로는 교외 지역 발전의 균형과 토지 취득 비용의 압축, 그리고 주변 도시의 편리성 향상을 목적으로 개발이 진행되지 않은 농촌 지역에 건설되었다.[3]
2. 2. 단계별 개통
년도 | 월 | 내용 |
---|---|---|
1993년 | 1월 | 투청-싼잉 구간 개통 |
1993년 | 7월 | 관시-신주 구간 개통 |
1993년 | 8월 | 중허-신주 구간 개통 |
1996년 | 2월 | 신주분기점-샹산 구간 개통 |
1996년 | 3월 | 석지-목책 구간 (타이베이 연락 도로) 개통 |
1997년 | 8월 | 목책-중허 구간 개통 |
2000년 | 2월 | 신화-구여 구간 개통 |
2000년 | 8월 | 기륭-석지분기점 구간 개통 (국도 제3호선 북부 (기륭-샹산) 전 구간 개통) |
2001년 | 12월 | 두륙-신화 구간, 샹산-죽남 구간 개통 |
2002년 | 5월 | 죽남-후룡 구간 개통 |
2002년 | 6월 | 초둔-두륙 구간 개통 |
2002년 | 10월 | 중항분기점-용정 구간 개통 |
2003년 | 1월 | 후룡-중항분기점 구간, 쾌관-초둔 구간 개통 |
2003년 | 4월 | 중허-투청 구간 속도 제한 100km/h로 개정, 투청 이남 구간 속도 제한 110km/h로 개정. |
2003년 | 9월 | 구여-인락 구간 개통 |
2004년 | 1월 10일 | 인락-임변 구간 개통 |
2004년 | 1월 11일 | 용정-쾌관 구간 개통 (국도 제3호선 전 구간 개통) |
2004년 | 11월 1일 | 국도 제3호선 구간 명칭을 "포르모자 고속공로"로 결정 |
2006년 | 2월 10일 | ETC 시스템 도입 |
2013년 | 12월 30일 | 기존 요금소 전면 폐지 |
2014년 | 3월 25일 | 난터우 나들목 개통 |
2014년 | 7월 19일 | 류잉 나들목 개통 |
2. 3. 명칭 변경 및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 (ETC) 도입
2004년 11월 1일, 국도 제3호선은 명칭 공모를 통해 "포르모사 고속공로"()로 명명되었다.[1] 그러나, 운전자들 사이에서는 "제2 고속도로"( 또는 )라는 별칭이 더 널리 사용된다.[1]2006년 2월 10일에는 ETC 시스템이 도입되었고,[2] 2013년 12월 30일에는 기존의 요금소가 전면 폐지, ETC를 이용한 거리제 요금 징수 방식으로 전환되었다.[3]
2. 4. 2010년 산사태
2010년 4월 25일, 시저우 부근 구간에서 산사태가 발생했다. 많은 양의 토사가 고속도로 양방향을 덮쳐 차량 4대가 매몰되었고, 이로 인해 4명이 사망했다.[2] 당시 비가 내리지 않았고 지진도 감지되지 않아, 부실한 사면 고정이 산사태의 원인으로 지목되었다.3. 노선 특징
포르모자 고속도로는 중산 고속도로와 달리 타이완 서부의 산악 지대와 농촌 지역을 통과하며, 여러 지방도 및 고속화 도로와 교차하여 주요 도시와의 접근성을 높였다. 특히, 난터우현(南投縣)과 핑둥현(屏東縣)에 최초로 건설된 고속도로로서 지역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타이중시(台中市)와 장화현(彰化縣) 사이 구간은 당초 남북 방향으로 건설될 예정이었지만, 토지 수용 문제로 인해 동서 방향으로 변경되었다.
포르모자 고속도로는 기륭시(基隆市)에서 핑둥현(屏東縣) 린볜샹(林辺郷)까지 타이완 서부를 종단하며, 총 55개의 분기점(IC)과 13개의 분기(JCT)를 가지고 있다. 제한 속도는 구간별로 다른데, 중허(中和)IC 이북은 90km/h, 중허(中和)IC-토청(土城)IC 구간은 100km/h, 토청(土城)IC 이남은 110km/h이다.
3. 1. 주요 경유 도시
3. 2. 다른 고속도로 및 고속화 도로와의 교차점
노선 번호 | 명칭 | 소재지 |
---|---|---|
국도 1호선 | 시즈 분기점 | 신베이시(New Taipei City) |
국도 2호선 | 잉거 분기점 | 신베이시(New Taipei City) |
국도 3A호선 | 무저 나들목 | 타이페이시(Taipei City) |
국도 4호선 | 중강 분기점 | 타이중시(Taichung City) |
국도 5호선 | 난강 분기점 | 타이페이시(Taipei City) |
국도 6호선 | 중헝 분기점 | 타이중시(Taichung City) |
국도 8호선 | 신화 분기점 | 타이난시(Tainan City) |
국도 10호선 | 옌차오 분기점 | 가오슝시(Kaohsiung City) |
국도 1호선 | 신주 분기점 | 신주시 바오산구(Baoshan, Hsinchu) |
국도 1호선 | 창화 분기점 | 창화시(Changhua City) |
61번 지방도 | 시빈 나들목 | 묘리현 주난진(Zhunan, Miaoli) |
62번 지방도 | 마둥 분기점 | 기륭시(Keelung City) |
5번 지방도 | 난강 나들목 | 신베이시(New Taipei City) |
63번 지방도 | 중터우 나들목 | 타이중시(Taichung City) |
64번 지방도 | 중허 나들목 | 신베이시(New Taipei City) |
66번 지방도 | 다시 나들목 | 타오위안시(Taoyuan City) |
74번 지방도 | 콰이관 나들목 | 창화시(Changhua City) |
76번 지방도 | 중싱 분기점 | 난터우현 차오툰진(Caotun, Nantou) |
78번 지방도 | 구컹 분기점 | 윈린현 구컹진(Gukeng, Yunlin) |
82번 지방도 | 수이샹 분기점 | 자이현 수이샹진(Shuishang, Chiayi) |
84번 지방도 | 구안톈 분기점 | 타이난시(Tainan City) |
86번 지방도 | 관묘 나들목 | 타이난시(Tainan City) |
88번 지방도 | 주톈 분기점 | 핑둥현 주톈향(Zhutian, Pingtung) |
4. 나들목 및 분기점
5. 차로 수 및 제한 속도
대부분의 구간은 왕복 6차로(3+3) 또는 왕복 4차로(2+2)로 구성되어 있다. 중허IC-투청IC 구간은 왕복 8차로(4+4)이며, 밍젠IC 부근 일부 구간은 왕복 7차로(4+3)이다. 제한 속도는 구간별로 다르다.
구간 | 차로 수 | 최고 속도 | 비고 |
---|---|---|---|
지진IC - 시오즈JCT | 3+3=6 | 90km | |
시오즈JCT 주선 | 2+2=4 | ||
시오즈JCT - 중허IC | 3+3=6 | ||
중허IC - 투청IC | 4+4=8 | 100km | |
투청IC - 잉거JCT | 110km | ||
잉거JCT - 우펑IC | 3+3=6 | ||
우펑IC - 난터우IC | 4+4=8 | ||
난터우IC - 밍젠 요금소 | 3+3=6 | ||
밍젠 요금소 - 밍젠IC | 4+3=7 | ||
밍젠IC - 지우루IC | 3+3=6 | ||
지우루IC - 다펑완 종점 | 2+2=4 |
6. 휴게소
포르모자 고속공로에는 관시, 시후, 친수이, 난터우, 구컹, 동산, 신화, 관먀오 등 7개의 휴게소가 설치되어 있다. 시후 휴게소는 주유소 시설이 없으며, 나머지 휴게소에서는 주유, 식사, 휴식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7. 사회적 영향 및 평가
포르모사 고속공로는 타이완 서부 지역의 균형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특히 농촌 지역의 경제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중산 고속도로의 교통량 분산 효과를 통해 전반적인 교통 흐름 개선에도 기여했다. 중산고속도로가 타이완 서부 도시 간의 연결을 직접적인 목적으로 한 데 비해, 포르모사 고속공로는 교외 지역 발전의 균형과 토지 취득 비용 절감, 그리고 주변 도시의 편리성 향상을 목적으로 개발이 진행되지 않은 농촌 지역에 건설되었다. 다만, 2010년 4월 25일 산사태로 인해 붕괴된 토사가 주행 중인 차량을 덮쳐 사망자 4명이 발생한 2010년 포르모사 고속공로 산사태2010年福爾摩沙高速公路山崩事件|중국어는 고속도로 안전 관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는 계기가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Freeway facilities (interchanges, service areas)
https://www.freeway.[...]
2021-07-02
[2]
뉴스
北二高走山 4人罹難
http://www.cna.com.t[...]
Central News Agency
2010-04-28
[3]
뉴스
國道3號3.1公里崩塌路段6月19日12時恢復主線雙向3車道通行
http://www.freeway.g[...]
Taiwan Area National Freeway Bureau
2010-06-18
[4]
웹사이트
Freeway No. 3 – Distances of facilities (interchanges, service areas)
http://www.freeway.g[...]
Taiwan Area National Freeway Bureau
2013-07-05
[5]
문서
행정명칭은 동서 횡단 도로는 짝수 번호를, 남북 종단 도로는 홀수 번호를 부여하도록 되어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